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프로토콜은 약속
웹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
HTTP는 1989년 3월에 세계 곳곳에 있는 떨어져있는 연구자들의 지식 공유를 위해 제안되었음
HTTP 통신
-1단계 클라이언트의 애플리케이션 계층(HTTP)에서 웹페이지를 보여달라고 Request 함
-2단계 트랜스포트 계층(TCP)에서 HTTP메시지를 조각내어 안내 번호와 포트 번호를 붙힘
-3단계 네트워크 계층(IP)에서 수신지 MAC 주소를 추가함
-4단계 링크 계층에서 수신측으로 전달 함
송신측에서는 1단계부터 4단계로 헤더를 추가하고, 반대로 수신측에서는 4단계->1단계순으로 헤더를 제거함
이것을 캡슐화라고 함
IP통신은 MAC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을 함
동일 네트워크 에서는 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을 사용하여 목적지를 찾아감
TCP(Transfer Control Protocol)는 큰 데이터를 보내기 쉽게 TCP 세그먼트로 쪼개어 보내며, 정확하게 도착했는지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담당함
잘 보내졌는지 여부는 TCP 플래그를 사용함 (SYN, ACK 등)
DNS(Domain Name System) 은 사람이 인지하기 쉬운 형태로 "www.google.com" 과 같은 URL을 IP주소로 변환하여 알려주는 역할을 함
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s) 는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한 이며 URL은 리소스의 장소를 나타냄
URL은 URI의 서브셋으로 동일하게 사용하여도 무방함
HTTP 기술 사양은 RFC(Request for Comments) 사양에서 확인할 수 있음
<출처. 그림으로 배우는 HTTP& Network Basic, 우에노 센, 영진출판사, 2015> 를 참고하여 직접 요약 하였습니다.